


저는 전조증상을 동반한 편두통을 가지고 있고 자칭 두통 마스터라고 할 만큼 잦은 두통에 시달렸는데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좋아지는 부분도 있었고, 운동을 하다 보니 좋아지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작년 12월에는 전조증상을 동반한 편두통이 3번이나 있었는데요. 그렇다면 이런 편두통 증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은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요?
편두통 증상


편두통 증상으로는 전구 증상, 전조 증상, 두통, 후구 증상과 같이 4단계로 구분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4단계를 다 겪는 것은 아닌데요. 어디에 발작을 하는지에 따라서 편두통 증상이 다른 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편두통은 전구증상, 전조, 두통 및 동반, 해소, 후유증 이렇게 5단계로 나뉘게 되지만, 무전조 편두통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전조 증상을 동반하는 편두통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전체 편두통 환자의 1/3 정도라고 할 수 있는데요.
1. 전구 증상
전구증상은 30~40% 환자가 경험한다고 하는데요. 우울감이나 분노와 같은 기분 변화를 비롯해 목이 뻣뻣해진다거나 오한, 나른함, 피곤함, 하품, 식욕 부진, 변비 혹은 설사 등과 같은 신체적인 증상 또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것이 바로 목이 뻣뻣해진다는 것인데요. 이는 피곤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나타나는 증상과 비슷하기 때문에 평소에 자신을 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스트레스가 편두통을 유발하는 유발 요인인자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하는데요. 술을 가장 조심하셔야 하고, 술 중에서도 레드와인이 편두통 유발을 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튀긴 음식이나 치즈, 초콜릿, 감귤류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여성분들이라면 월경 전증후군으로 편두통을 앓고 계시는 분들이 있으실 수 있는데요. 호르몬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사람이라면 앓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종종 격한 운동 후, 수면 과다, 과로, 불규칙한 생활습관이 편두통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너무 밝은 빛이나 깜빡이는 빛, 날씨의 변화 그리고 높은 고도가 해당될 수 있습니다.
2. 전조증상



저는 전조증상을 동반한 편두통을 가지고 있는데요. 전조는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으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한 시간 미만으로 지속되고 그 이후에 두통이 이어지는데요. 이러한 전조증상은 편두통과 다른 두통을 구분 지어줄 수 있는 특이한 특징 중 하나입니다.
전형적인 전조증상으로는 시각, 감각, 언어 증상이 두통 시작 전이나 두통 중에 나타나는데요. 이는 시간이 흐르면서 회복이 가능하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전조증상이 지나고 나면 엄청난 두통에 시달릴 수 있는데요. 이럴 때는 최대한 빛을 피하고 미리 약을 복용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눈앞에 반짝이는 빛이나 지그재그 선을 볼 수 있고, 감각 소실을 경험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전조증상을 앓고 계시는 분들 중에서는 시각 전조가 대부분이고, 그다음이 감각 전조, 그 다음이 언어, 그 다음이 운동 전조입니다.
감각 증상으로는 팔과 얼굴에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몸이나 다리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엄지손가락에서 팔을 거쳐 입 주변으로 전파되는 양상이 가장 흔하다고 하는데요. 그다음으로 언어 장애 전조는 흔하지 않지만 종종 편두통 환자에게서 나타나는데요. 발음이 잘 되지 않거나 혀나 입 주변에 감각이 없어집니다.
때로는 전조 증상만 있고 편두통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두통 없는 편두통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3. 두통



두통은 대부분 한쪽에서만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욱신욱신 쑤시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하지만 양쪽 모두, 혹은 전체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두통은 4시간에서 72시간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있지만, 보통 하루면 나아진다고 합니다.
편두통 증상에 가장 좋은 점은 빛을 피하고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곳에 몸을 최대한 움직이지 않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종 편두통과 함께 울렁이거나 구토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데요. 빛, 소리, 냄새에 의한 자극을 최대한 피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4. 후구 증상
두통이 지나간 후의 증상을 후구 증상이라고 하는데, 이는 대부분 환자들이 경험하는 것이 매우 다릅니다. 하지만 기분의 저하, 불안정감, 무기력함 등이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울렁거림이나 체기를 느끼기도 합니다. 근육이 이상하리만큼 약해졌다는 느낌과 함께 신체적인 피로감도 느낄 수 있는데요. 이는 두통을 겪고 난 후의 환자들 절반 이상이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편두통 전조증상 치료법


편두통은 생활 습관에서 많이 고쳐질 수 있는 부분이지만, 생활 습관을 개선해도 낫지 않는다면 전문의를 찾아가야 합니다. 약물을 통해서 편두통을 다스릴 수 있는데요. 보통의 약보다는 훨씬 강하기 때문에 몽롱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하지만 편두통이 시작되는 조짐이 보일 때 약물을 투여하면 효과가 더 좋기 때문에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전조증상이 일어날 때 약을 복용하고 어둡고 조용한 곳에 눈을 감고 있으면 훨씬 효과적입니다.





종종 소화가 되지 않거나 장 건강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서 편두통이 나타나기도 하는데요. 이는 식습관을 고치거나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훨씬 더 완화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월경과 같이 호르몬 때문에 매달 편두통을 겪는 분들께서는 전문의를 찾아가 약을 처방받아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커피나 치즈, 초콜릿, 유제품, 튀긴 음식과 같은 제품들을 피해 주시고 최대한 장에 부담이 덜 가게 먹게 된다면 편두통 증상이 많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
'일상 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D 부족증상 알아보기 (0) | 2023.04.15 |
---|---|
뇌경색 전조증상과 치료법 (0) | 2023.04.14 |
마그네슘 부족현상과 풍부한 음식 (0) | 2023.04.11 |
골다공증 원인과 증상 치료법 (1) | 2023.04.11 |
보스웰리아 효능과 부작용 (0) | 2023.04.10 |